윈도우 복구 시점, 이렇게 쉽게 관리해 보세요!
목차
- 윈도우 복구 시점이란 무엇일까요?
- 왜 윈도우 복구 시점을 만들어야 할까요?
- 윈도우 복구 시점 만드는 방법 (단계별 가이드)
- 방법 1: 제어판을 이용한 복구 지점 만들기
- 방법 2: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한 복구 지점 만들기
- 복구 시점 관리하기
- 복구 지점 확인하기
- 필요 없는 복구 지점 삭제하기
- 복구 시점으로 되돌리는 방법
- 복구 시점 활용 시 주의사항
본문
1. 윈도우 복구 시점이란 무엇일까요?
윈도우 복구 시점은 컴퓨터의 특정 시점을 스냅샷처럼 저장해 놓는 기능입니다. 마치 시간 여행을 하듯, 컴퓨터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전에 저장해 놓은 시점으로 되돌아가 문제 발생 이전의 상태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.
2. 왜 윈도우 복구 시점을 만들어야 할까요?
- 예기치 못한 문제 발생 시: 바이러스 감염, 프로그램 오류, 시스템 파일 손상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복구 시점이 있다면 이러한 문제 발생 전의 상태로 쉽게 되돌릴 수 있습니다.
- 새로운 프로그램 설치 전: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전에 복구 시점을 만들어 놓으면, 프로그램과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이전 상태로 복원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.
- 중요한 작업 수행 전: 중요한 문서 작업이나 시스템 설정 변경 전에 복구 시점을 만들어 놓으면, 실수로 데이터를 손실하거나 설정이 엉망이 되더라도 안심할 수 있습니다.
3. 윈도우 복구 시점 만드는 방법 (단계별 가이드)
방법 1: 제어판을 이용한 복구 지점 만들기
- 제어판을 열고 시스템 및 보안을 클릭합니다.
- 시스템을 클릭하고 시스템 보호 탭으로 이동합니다.
- 시스템 보호에서 복구 지점을 만들고 싶은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복구 지점에 대한 설명을 입력하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복구 지점이 생성됩니다.
방법 2: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한 복구 지점 만들기
- 시작 버튼을 클릭하고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.
- 다음 명령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.
- (C: 드라이브를 대상으로 복구 지점을 만들 경우)
vssadmin create shadowcopy /for=C:
4. 복구 시점 관리하기
복구 지점 확인하기
제어판의 시스템 보호 설정에서 생성된 복구 지점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필요 없는 복구 지점 삭제하기
제어판의 시스템 보호 설정에서 삭제하고 싶은 복구 지점을 선택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.
5. 복구 시점으로 되돌리는 방법
- 제어판의 시스템 보호 설정에서 복원하고 싶은 시점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복원 옵션을 확인하고 마침 버튼을 클릭하면 시스템이 재부팅되면서 복원이 진행됩니다.
6. 복구 시점 활용 시 주의사항
- 복구 시점은 자주 만들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.
- 복구 시점은 디스크 공간을 차지하므로, 필요 없는 복구 시점은 주기적으로 삭제하여 디스크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.
- 복구 시점으로 되돌리면 그 이후에 설치한 프로그램이나 변경된 설정은 모두 사라지게 됩니다.
주의: 복구 시점 기능은 시스템 오류 해결에 도움이 되지만,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 중요한 데이터는 항상 백업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7 백업 및 복원, 이렇게 하면 쉽다! (0) | 2024.12.17 |
---|---|
윈도우10 버전확인 쉬운방법: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간단한 가이드 (0) | 2024.12.16 |
윈도우 배경화면 바꾸는 법: 누구나 쉽게 따라 하는 방법 (0) | 2024.12.16 |
윈도우 배경화면 바꾸기: 누구나 쉽게 따라하는 방법 (0) | 2024.12.16 |
윈도우 한글 언어팩, 가장 쉽고 빠르게 설치하는 방법! (0) | 2024.12.16 |